선한부자의 좋은 책과글
2017. 11. 21. 08:04
1969년 자동차 2대를 치안이 허술한 골목에 방치해 깨진 유리창 실험을 한 필립 짐바르도 교수의 실험(1982년)에 착안하여 깨진 유리창(Broken Windows)'이라는 논문을 발표한 제임스윌슨(James Q. Wison) 교수와 조지 켈링(George L. Kelling) 교수는 범죄행정학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1982년 이 이론이 발표되었을 때 찬반양론이 비등하였다고 합니다. 한편에서는 기존의 형사행정학(刑事行政學)을 뒤집어엎는 혁명적이고 독창직인 이론이라고 극찬 했지만, 한편에서는 불합리한 이론이라고 폄하(貶下)하였다고 합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을 불합리한 이론이라고 본 사람들은 유리창을 깨는 행위나 길가에 쓰레기를 버리는 사소한 범법 행위와 살인 및 강도와 같은 강력범죄는 무관하다고 보았던 것입니다.
1993년 뉴욕시장에 당선되어 1994년부터 임기를 시작한 루돌프 줄리아니시장은 뉴욕의 심각한 범죄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지를 숙고하다가 깨진유리창 이론을 재택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론이 발표된지 11년 만에 실제적으로 뉴욕시 행정에 적용하여 실험에 들어간 것입니다.
그 시절 흉물스러웠던 뉴욕 지하철 구내는 물론이거니와 차량 전체가 빈늠없이 스프레이 패인트로 온갖 낙서가 널려 있었고, 무임승차자(free rider)가 너무 많았으며. 그리고 곳곳에 마약이나 알콜에 취한 노숙자들이 즐비하게 퍼질러 앉아 있었습니다. 그리고 수시로 강력범죄가 발생했습니다.
루돌프 줄리아니 시장도 취임 직후부터 브레턴(William J. Bratton) 경찰국장과 함께 손잡고 대대적인 범죄와의 전쟁을 시작하여 범죄 소탕작전에 돌입하였습니다.
루돌프 줄이아니 뉴욕 시장이 제일먼저 한것은 지하철 낙서 지우기입니다. 지하철 구내와 차량에 빈틈없이 갈겨진 낙서를 지우는 것이었다. 줄리아니 시장은 낙서가 지워지지 않은 차량은 운행을 금지 시킬 정도로 강력하게 낙서 제거 작업을 추진하자 범죄가 줄어들기 시작하였습니다.
낙서 제거 작업은 무려 5년에 걸쳐 실시되었고, 그 결과 뉴욕의 지하철이깨끗하게 되었습니다. 낙서 제거와 낙서 금지 같은 사소한 문제를 해결하자 지하철 강력범죄가 줄어들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에 용기를 얻은 줄리아니 시장과 브레턴 경찰국장은 범죄 전반에 걸쳐 깨진 유리창 이론을 적용히 기로 하였습니다.
그것이 바로 경범죄 소탕작전입니다. 그들이 제일 처음 손을 댄 것은 기존의 상식을 크게 벗어난 것이였습니다. 그들이 철퇴를 가한 것은 살인, 강도, 성폭행, 마약범과 같은 강력범죄가 아니라 낙서, 무임승차, 차 유리 부수기, 소란, 신호위반 등과 같은 아주 사소한 경범죄들 이었습니다.
그들은 뉴욕 시내의 "깨진 유리창"을 낙서, 무임승차, 그리고 허락 없이 차 유리창을 닦고 돈을 요구하는 행위 등 아주 사소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경범죄를 강력하게 단속하면서 동시에 앞으로 강력범죄는 더더욱 엄격하게 단속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시민들에게 계속 보냈습니다.
옛말에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란 말이 있습니다. 아마도 바늘도둑을 예방하므로 소도둑을 막으라는 교훈이고 그리고 나에게는 늘 조금씩 시간내서 운동함으로 큰병(성인병)을 예방하라는 개인적인 메세지로도 들리는듯합니다.
반응형
'선한부자의 좋은 책과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환경을 위한 팃포탯이론 (0) | 2017.11.23 |
---|---|
10분을 활용하라 (0) | 2017.11.22 |
백지 한장 차이가 성패를 갈라놓는다 (0) | 2017.11.20 |
성공경험을 너무 자신하지 마라 (0) | 2017.11.20 |
이제 나이든 사람 들은 젊은이들에게 물어야 한다 (0) | 2017.11.19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