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334건
- 2019.07.04 :: 내가 얻어야 할 것
- 2019.07.03 :: 완전한 지혜를 지키면
- 2019.07.02 :: 생명길을 가지 못한 자
- 2019.07.01 :: 잠언이 주는 유익
- 2019.06.29 ::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
- 2019.06.28 :: 깨달음
- 2019.06.27 :: 배고픔과 배부름
- 2019.06.26 :: 대답
- 2019.06.25 :: 제거
- 2019.06.24 :: 돌봄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7. 4. 07:08
💒 내가 얻어야 할 것
잠언 4:5
지혜를 얻으며 명철을 얻으라 내 입의 말을 잊지 말며 어기지 말라
● 살아가면서 얻어야 하는 것이 많습니다. 배움을 통하여 지식을 얻어 세상을 알아 갑니다. 병든 육체는 고통을 주고 아품이 있기에 건강을 얻으려고 운동은 물론 몸에 좋은 것은 다 얻으려고 합니다.
많은 이들이 자신을 알아주기 위하여 명예를 얻으려고 합니다. 자신이 가진 것을 통해 다르리고 지배하려고 권세를 얻으려 합니다. 그 어느 것 하나도 소홀이 여길 수 없는 것들이기에 목숨을 걸고 얻으려고 수고와 노력을 아끼지 않습니다.
지식을얻고 건강도 얻었으며 명예와 권세를 얻었지만 내가 얻어야 할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지혜입니나. 그것도 하나님이 주신 명철의 말씀을 잊지 말아야 하며 어기지 않는 것이 얻어야 할 전부입니다.
■ 지혜를 얻는 것이 모든 것을 얻은 것입니다.
잠언 4:5
지혜를 얻으며 명철을 얻으라 내 입의 말을 잊지 말며 어기지 말라
● 살아가면서 얻어야 하는 것이 많습니다. 배움을 통하여 지식을 얻어 세상을 알아 갑니다. 병든 육체는 고통을 주고 아품이 있기에 건강을 얻으려고 운동은 물론 몸에 좋은 것은 다 얻으려고 합니다.
많은 이들이 자신을 알아주기 위하여 명예를 얻으려고 합니다. 자신이 가진 것을 통해 다르리고 지배하려고 권세를 얻으려 합니다. 그 어느 것 하나도 소홀이 여길 수 없는 것들이기에 목숨을 걸고 얻으려고 수고와 노력을 아끼지 않습니다.
지식을얻고 건강도 얻었으며 명예와 권세를 얻었지만 내가 얻어야 할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지혜입니나. 그것도 하나님이 주신 명철의 말씀을 잊지 말아야 하며 어기지 않는 것이 얻어야 할 전부입니다.
■ 지혜를 얻는 것이 모든 것을 얻은 것입니다.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적절한 관계의 결과 (0) | 2019.07.06 |
---|---|
멀리해야 될 인간 (0) | 2019.07.05 |
완전한 지혜를 지키면 (0) | 2019.07.03 |
생명길을 가지 못한 자 (0) | 2019.07.02 |
잠언이 주는 유익 (0) | 2019.07.01 |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7. 3. 07:00
🛐 완전한 지혜를 지키면
잠언 3:21-22
21 내 아들아 완전한 지혜와 근신을 지키고 이것들로 네 눈 앞에서 떠나지 않게 하라
22 그리하면 그것이 네 영혼의 생명이 되며 네 목에 장식이 되리니
□ 왜 우리가 지혜를 얻어야 하고 지켜야 하는 이유가 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여러가지 이유가 되겠지만 아마도 나의 삶과 연관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지혜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삶의 질이 달라지게 때문입니다.
지혜가 없는 인생은 어리석기 때문에 늘 고생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실수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실패가 끊임없이 일어나지만 지혜가 없기에 늘 당하는 것입니다.
어설픈 지혜를 가져도 어느 정도 내게 유익이 되겠지만 내 영혼에 생명이 되며 나를 나되게 하지 못합니다. 완전한 지혜를 지키고 떠나지 않게 하면 나의 영혼이 살게 하며 삶이 풍요하게 됩니다.
○ 완전한 지혜는 하나님이 주신 말씀을 지키는데 있습니다.
잠언 3:21-22
21 내 아들아 완전한 지혜와 근신을 지키고 이것들로 네 눈 앞에서 떠나지 않게 하라
22 그리하면 그것이 네 영혼의 생명이 되며 네 목에 장식이 되리니
□ 왜 우리가 지혜를 얻어야 하고 지켜야 하는 이유가 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여러가지 이유가 되겠지만 아마도 나의 삶과 연관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지혜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삶의 질이 달라지게 때문입니다.
지혜가 없는 인생은 어리석기 때문에 늘 고생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실수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실패가 끊임없이 일어나지만 지혜가 없기에 늘 당하는 것입니다.
어설픈 지혜를 가져도 어느 정도 내게 유익이 되겠지만 내 영혼에 생명이 되며 나를 나되게 하지 못합니다. 완전한 지혜를 지키고 떠나지 않게 하면 나의 영혼이 살게 하며 삶이 풍요하게 됩니다.
○ 완전한 지혜는 하나님이 주신 말씀을 지키는데 있습니다.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리해야 될 인간 (0) | 2019.07.05 |
---|---|
내가 얻어야 할 것 (0) | 2019.07.04 |
생명길을 가지 못한 자 (0) | 2019.07.02 |
잠언이 주는 유익 (0) | 2019.07.01 |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 (0) | 2019.06.29 |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7. 2. 08:04
💒 생명길을 가지 못한 자
잠언 2:19
누구든지 그에게로 가는 자는 돌아오지 못하며 또 생명길을 얻지 못하느니라
● 운전을 하거나 길을 가다보면 아는 길이면 마음편하게 갑니다. 가는 길은 물론 목적지를 알고 있기에 목적지까지 편하게 갑니다. 생판 모르는 길이라면 불안해서 고생길이 되기도 합니다.
아는 길이라 방심하면 않좋은 일들이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안다고 해서 주의를 하지 않고 조심하지 않으면 뜻하지 않게 일을 만나 고생하기에 아는 길이라도 때로는 돌아오지 못하는 길을 갈 수도 있습니다.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가는 길을 생명길이라 하면 사고가 나거나 죽음에 이르게 되면 사망길이 됩니다. 누구와 함께 가느냐에 따라서 생명길을 가던지, 사망길이 될지 모릅니다. 선하고 의로운 이들은 생명길을 동행하지만 음란하고 악하며 못 된 자들에게 가는 자들은 생명길을 걷지 못하게 됩니다.
■ 동행하는 이들이 나어게는 어떤 존재가 됩니까?
잠언 2:19
누구든지 그에게로 가는 자는 돌아오지 못하며 또 생명길을 얻지 못하느니라
● 운전을 하거나 길을 가다보면 아는 길이면 마음편하게 갑니다. 가는 길은 물론 목적지를 알고 있기에 목적지까지 편하게 갑니다. 생판 모르는 길이라면 불안해서 고생길이 되기도 합니다.
아는 길이라 방심하면 않좋은 일들이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안다고 해서 주의를 하지 않고 조심하지 않으면 뜻하지 않게 일을 만나 고생하기에 아는 길이라도 때로는 돌아오지 못하는 길을 갈 수도 있습니다.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가는 길을 생명길이라 하면 사고가 나거나 죽음에 이르게 되면 사망길이 됩니다. 누구와 함께 가느냐에 따라서 생명길을 가던지, 사망길이 될지 모릅니다. 선하고 의로운 이들은 생명길을 동행하지만 음란하고 악하며 못 된 자들에게 가는 자들은 생명길을 걷지 못하게 됩니다.
■ 동행하는 이들이 나어게는 어떤 존재가 됩니까?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얻어야 할 것 (0) | 2019.07.04 |
---|---|
완전한 지혜를 지키면 (0) | 2019.07.03 |
잠언이 주는 유익 (0) | 2019.07.01 |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 (0) | 2019.06.29 |
깨달음 (0) | 2019.06.28 |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7. 1. 16:04
잠언이 주는 유익
잠언 1:3
"지혜롭게, 의롭게, 공평하게, 정직하게 행할 일에 대하여 훈계를 받게 하며"
○ 잠언은 히브리어로 '미쉴레(마샬)'라고 하며, 영어 'proverb'는 속담이란 뜻입니다. 한자어 명칭인 '잠언'(箴言)은 "바늘로 찌르는 말씀"이란 뜻이다. 잠언은 많은 말을 대신해서 지혜로운 원칙을 짧은 문장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잠언은 구약성경에 20번째 책이며 지혜서로 일종의 조언이 담긴 것입니다. 솔로몬 왕이 거의 대부분을 기록과 펀집을 했으며 아굴과 르무엘 왕의 어머니와 지혜로운 자들의 잠언이 있습니다.
잠언이 우리에게 주는 유익은 '지혜롭고, 의롭게 하며, 공펴아고 정직함에 대하여 훈계'를 받는 것입니다. 비록 짧은 글이지만 새기면 새길수록 의미가 있고 삶을 풍성하게 해 주는 유익이 있습니다.
□ 바늘로 찌르는 듯한 말이지만 듣고 살면 지혜가 되는 것이 잠언입니다.
잠언 1:3
"지혜롭게, 의롭게, 공평하게, 정직하게 행할 일에 대하여 훈계를 받게 하며"
○ 잠언은 히브리어로 '미쉴레(마샬)'라고 하며, 영어 'proverb'는 속담이란 뜻입니다. 한자어 명칭인 '잠언'(箴言)은 "바늘로 찌르는 말씀"이란 뜻이다. 잠언은 많은 말을 대신해서 지혜로운 원칙을 짧은 문장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잠언은 구약성경에 20번째 책이며 지혜서로 일종의 조언이 담긴 것입니다. 솔로몬 왕이 거의 대부분을 기록과 펀집을 했으며 아굴과 르무엘 왕의 어머니와 지혜로운 자들의 잠언이 있습니다.
잠언이 우리에게 주는 유익은 '지혜롭고, 의롭게 하며, 공펴아고 정직함에 대하여 훈계'를 받는 것입니다. 비록 짧은 글이지만 새기면 새길수록 의미가 있고 삶을 풍성하게 해 주는 유익이 있습니다.
□ 바늘로 찌르는 듯한 말이지만 듣고 살면 지혜가 되는 것이 잠언입니다.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한 지혜를 지키면 (0) | 2019.07.03 |
---|---|
생명길을 가지 못한 자 (0) | 2019.07.02 |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 (0) | 2019.06.29 |
깨달음 (0) | 2019.06.28 |
배고픔과 배부름 (0) | 2019.06.27 |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6. 29. 09:06
💒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
잠언 29:4
왕은 공의로 나라를 견고케 하나 뇌물을 억지로 내게 하는 자는 나라를 멸망시키느니라
● 잘 되는 나라는 정의가 있습니다. 특히 지도자들이 공의롭게 하여 흐름이 잘되어 모두가 막힘이 없이 소통이 잘 되게 하는 것입니다. 지도자들이 사리사욕을 버리고 공의를 견고케 하려고 하기 때문에 잘되는 나라가 되는 겁니다.
망하는 나라는 원인이 많겠지만 지도자들이 정의롭지 못하고 썪었기 때문입니다. 사리에 밝으며 사욕을 채우려고 공의를 저버리고 멋대로 하기에 나라가 잘 되지 못하고 망하는 것입니다.
지도자들이 사욕을 채우기 위해 뇌물을 강요하거나 억지로 내게 하여 윗물이 썪으면 나라가 망한다고 오늘의 잠언은 전하고 있습니다. 부정부패가 심하여 공의가 사라지면 나라가 잘 될 수 없는 것입니다.
■ 정의가 하수같이 흐르게 하소서
잠언 29:4
왕은 공의로 나라를 견고케 하나 뇌물을 억지로 내게 하는 자는 나라를 멸망시키느니라
● 잘 되는 나라는 정의가 있습니다. 특히 지도자들이 공의롭게 하여 흐름이 잘되어 모두가 막힘이 없이 소통이 잘 되게 하는 것입니다. 지도자들이 사리사욕을 버리고 공의를 견고케 하려고 하기 때문에 잘되는 나라가 되는 겁니다.
망하는 나라는 원인이 많겠지만 지도자들이 정의롭지 못하고 썪었기 때문입니다. 사리에 밝으며 사욕을 채우려고 공의를 저버리고 멋대로 하기에 나라가 잘 되지 못하고 망하는 것입니다.
지도자들이 사욕을 채우기 위해 뇌물을 강요하거나 억지로 내게 하여 윗물이 썪으면 나라가 망한다고 오늘의 잠언은 전하고 있습니다. 부정부패가 심하여 공의가 사라지면 나라가 잘 될 수 없는 것입니다.
■ 정의가 하수같이 흐르게 하소서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길을 가지 못한 자 (0) | 2019.07.02 |
---|---|
잠언이 주는 유익 (0) | 2019.07.01 |
깨달음 (0) | 2019.06.28 |
배고픔과 배부름 (0) | 2019.06.27 |
대답 (0) | 2019.06.26 |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6. 28. 09:25
🛐 깨달음
잠언 28:5
악인은 공의를 깨닫지 못하나 여호와를 찾는 자는 모든 것을 깨닫느니라
○ 깨닫는 것은 기쁨입니다. 지적인 배움에 깨달음이 있습니다. 몰랐던 것을 알게 됨에 깨달음이 너무나 행복한 것입니다. 그래서 더 많이 배움이 지적인 갈증을 해소하여 주는 것입니다.
깨달음은 복입니다. 삶에 이치를 깨달아 지혜를 얻을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삶에 깨달은 지혜가 없다면 늘 실수를 하게 되고 미련하며 어리석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더 많은 깨달으려고 지혜를 얻으려 합니다.
깨달음은 복입니다. 선과 악을 깨닫게 되니 의와 죄를 아는 것입니다. 자기가 행한 것이 악인지도 모르고 죄를 짓는 것은 불쌍한 것입니다. 그래서 죄인들은 공의를 깨닫지 못하는 자들입니다. 잠언에 가르침은 여호와를 찾을 때 모든 것은 깨달게 된다는 것입니다.
□ 깨닫는 자만이 여호와의 복을 받습니다.
잠언 28:5
악인은 공의를 깨닫지 못하나 여호와를 찾는 자는 모든 것을 깨닫느니라
○ 깨닫는 것은 기쁨입니다. 지적인 배움에 깨달음이 있습니다. 몰랐던 것을 알게 됨에 깨달음이 너무나 행복한 것입니다. 그래서 더 많이 배움이 지적인 갈증을 해소하여 주는 것입니다.
깨달음은 복입니다. 삶에 이치를 깨달아 지혜를 얻을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삶에 깨달은 지혜가 없다면 늘 실수를 하게 되고 미련하며 어리석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더 많은 깨달으려고 지혜를 얻으려 합니다.
깨달음은 복입니다. 선과 악을 깨닫게 되니 의와 죄를 아는 것입니다. 자기가 행한 것이 악인지도 모르고 죄를 짓는 것은 불쌍한 것입니다. 그래서 죄인들은 공의를 깨닫지 못하는 자들입니다. 잠언에 가르침은 여호와를 찾을 때 모든 것은 깨달게 된다는 것입니다.
□ 깨닫는 자만이 여호와의 복을 받습니다.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언이 주는 유익 (0) | 2019.07.01 |
---|---|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 (0) | 2019.06.29 |
배고픔과 배부름 (0) | 2019.06.27 |
대답 (0) | 2019.06.26 |
제거 (0) | 2019.06.25 |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6. 27. 08:37
💒 부름과 고픔
잠언 27:7
배부른 자는 꿀이라도 싫어하고 주린 자에게는 쓴 것이라도 다니라
● 누군가에게는 같은 조건에 있더라도 힘들어 하는 자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는 자가 있습니다. 힘들어 하는 자는 그런 일을 경험하지 못했거나 처음 당하기 때문일 겁니다. 반면에 일을 쉽게 처리하고 편하게 여기는 자는 그 일이 익숙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먹는 것도 그렇습니다. 배가 부른 자들은 부른 배로 인해 진수성찬도 다 마다하며 거부를 합니다. 하지만 고픈 배는 뭘 먹어도 산해진미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자기자신에 처한 것이 어떠냐에 따라서 반응이 달라지는 것이 사람이 아닌가 합니다. 전부가 똑같을 수 없으니 같은 것을 바라는 것은 욕심이 아닐까 합니다. 반응이 다르다 해서 오해를 하지 않고 그 사람의 처지를 이해하는 것이 소통이 아닐까 합니다.
■ 부름과 고픔은 맛에 달려 있습니다
잠언 27:7
배부른 자는 꿀이라도 싫어하고 주린 자에게는 쓴 것이라도 다니라
● 누군가에게는 같은 조건에 있더라도 힘들어 하는 자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는 자가 있습니다. 힘들어 하는 자는 그런 일을 경험하지 못했거나 처음 당하기 때문일 겁니다. 반면에 일을 쉽게 처리하고 편하게 여기는 자는 그 일이 익숙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먹는 것도 그렇습니다. 배가 부른 자들은 부른 배로 인해 진수성찬도 다 마다하며 거부를 합니다. 하지만 고픈 배는 뭘 먹어도 산해진미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자기자신에 처한 것이 어떠냐에 따라서 반응이 달라지는 것이 사람이 아닌가 합니다. 전부가 똑같을 수 없으니 같은 것을 바라는 것은 욕심이 아닐까 합니다. 반응이 다르다 해서 오해를 하지 않고 그 사람의 처지를 이해하는 것이 소통이 아닐까 합니다.
■ 부름과 고픔은 맛에 달려 있습니다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 (0) | 2019.06.29 |
---|---|
깨달음 (0) | 2019.06.28 |
대답 (0) | 2019.06.26 |
제거 (0) | 2019.06.25 |
돌봄 (0) | 2019.06.24 |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6. 26. 11:18
말 대답
잠언 26:5
미련한 자의 어리석은 것을 따라 그에게 대답하라 두렵건대 그가 스스로 지혜롭게 여길까 하노라
○ 대답을 잘해야 인간관계가 잘 맺어지게 됩니다. 질문한 사람의 의도를 알고 답을 주면 가까운 사이가 됩니다. 질문한 자는 답한 자를 다시 찾고 더 가깝게 지내려고 합니다.
이와 반대로 답을 제대로 못해준다면 답답해 하고 무시를 하게 됩니다. 답을 줄 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말을 했지만 엉뚱하고 이해가 되지 않는 말 대답이 서로가 힘들게 합니다. 그래서 말 대답이 중요합니다.
미련하고 어리석은 자들의 질문의 답을 해 주어도 저들은 받아 들이거나 이해하지 못해 답을 주어도 답답합니다. 그리고 저들은 똑똑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쉬지 않고 묻고 묻는 것입니다.
□ 대답은 소통의 시작이다.
잠언 26:5
미련한 자의 어리석은 것을 따라 그에게 대답하라 두렵건대 그가 스스로 지혜롭게 여길까 하노라
○ 대답을 잘해야 인간관계가 잘 맺어지게 됩니다. 질문한 사람의 의도를 알고 답을 주면 가까운 사이가 됩니다. 질문한 자는 답한 자를 다시 찾고 더 가깝게 지내려고 합니다.
이와 반대로 답을 제대로 못해준다면 답답해 하고 무시를 하게 됩니다. 답을 줄 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말을 했지만 엉뚱하고 이해가 되지 않는 말 대답이 서로가 힘들게 합니다. 그래서 말 대답이 중요합니다.
미련하고 어리석은 자들의 질문의 답을 해 주어도 저들은 받아 들이거나 이해하지 못해 답을 주어도 답답합니다. 그리고 저들은 똑똑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쉬지 않고 묻고 묻는 것입니다.
□ 대답은 소통의 시작이다.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6. 25. 07:59
💒 제거의 효과
잠언 25:4
은에서 찌끼를 제하라 그리하면 장색의 쓸만한 그릇이 나올 것이요
● 순수하다는 것은 불순한 것을 제할 때 얻는 결과물입니다. 불순함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온전한 순수라 표현하지 못합니다. 사람이 순수하지 못하고 불손한 태도는 시건방지고 거만하거나 오만방자하다 할 것입니다.
물질에도 불순물이 들어 가면 가치를 떨어 뜨립니다. 순도가 높고 순수함은 본래의 물질이라고 여겨 질 때이며, 변하지 않는 가치가 되기 때문에 귀한 것으로 여깁니다. 그래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과 방법을 하려면 수고를 아끼지 않는 것입니다.
찌꺼기를 제거하고 불순물을 없애는 효과는 쓸만한 것이 되기 때문에 가치가 높게 여겨집니다. 이런 과정을 지나면 희소성이 높은 보석이 되어 귀금속이 되는 것입니다.불순물이 제거되지 않는 것을 귀금속이라 하지 않습니다.
■ 귀금속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처야 얻는다.
잠언 25:4
은에서 찌끼를 제하라 그리하면 장색의 쓸만한 그릇이 나올 것이요
● 순수하다는 것은 불순한 것을 제할 때 얻는 결과물입니다. 불순함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온전한 순수라 표현하지 못합니다. 사람이 순수하지 못하고 불손한 태도는 시건방지고 거만하거나 오만방자하다 할 것입니다.
물질에도 불순물이 들어 가면 가치를 떨어 뜨립니다. 순도가 높고 순수함은 본래의 물질이라고 여겨 질 때이며, 변하지 않는 가치가 되기 때문에 귀한 것으로 여깁니다. 그래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과 방법을 하려면 수고를 아끼지 않는 것입니다.
찌꺼기를 제거하고 불순물을 없애는 효과는 쓸만한 것이 되기 때문에 가치가 높게 여겨집니다. 이런 과정을 지나면 희소성이 높은 보석이 되어 귀금속이 되는 것입니다.불순물이 제거되지 않는 것을 귀금속이라 하지 않습니다.
■ 귀금속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처야 얻는다.
반응형
이홍규목사의 잠언이야기
2019. 6. 24. 07:41
🛐 돌보지 않으면
잠언 24:31
가시덤불이 퍼졌으며 거친 풀이 지면에 덮였고 돌담이 무너졌기로
○ 돌봄이 있음으로 인해 결과가 다르게 보입니다. 돌보지 않고 그래로 놔두면 제 멋대로 굴거나 거칠어서 손을 쓸 수 없게 됩니다. 돌봄이 그래서 필요하기에 잘 돌보는 것이 능력입니다.
풍요롭게 수확을 얻는 것은 손을 봐주고 땀흘림에 있는 것입니다. 실한 것을 얻기 위해 선택한 것을 잘 돌봐야만 합니다. 다른 것들을 없애거나 정성을 들여야 돌봄의 결과를 얻게 되 만족을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돌보지 않는다면 결과는 원하는 것을 얻어 낼 수가 없습니다. 돌봄이 없으면 생명력이 강한 것이나 생존에 강한 것에 밀리거나 밟혀, 원하는 것들이 손에 쥐는 것이 없게 됩니다. 돌봄이 없기에 결과도 없는 것입니다.
□ 돌봄은 사랑입니다
잠언 24:31
가시덤불이 퍼졌으며 거친 풀이 지면에 덮였고 돌담이 무너졌기로
○ 돌봄이 있음으로 인해 결과가 다르게 보입니다. 돌보지 않고 그래로 놔두면 제 멋대로 굴거나 거칠어서 손을 쓸 수 없게 됩니다. 돌봄이 그래서 필요하기에 잘 돌보는 것이 능력입니다.
풍요롭게 수확을 얻는 것은 손을 봐주고 땀흘림에 있는 것입니다. 실한 것을 얻기 위해 선택한 것을 잘 돌봐야만 합니다. 다른 것들을 없애거나 정성을 들여야 돌봄의 결과를 얻게 되 만족을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돌보지 않는다면 결과는 원하는 것을 얻어 낼 수가 없습니다. 돌봄이 없으면 생명력이 강한 것이나 생존에 강한 것에 밀리거나 밟혀, 원하는 것들이 손에 쥐는 것이 없게 됩니다. 돌봄이 없기에 결과도 없는 것입니다.
□ 돌봄은 사랑입니다
반응형